동쪽은 창수면과 남쪽은 지품면 퇴구리와 북쪽은 영양의 양구를 연접한 고장 "원리리"

  • 원리리 전경
  • 원리리 전경

동쪽은 창수면과 남쪽은 지품면 토구리와 북쪽은 영양의 양구를 연접한 고장이다. 화산의 분화구였던 것으로 보이며 면 소재지가 있는 마을이다. 석보면의 사무소. 파출소, 중등학교가 있고 보건지소와 우체국, 농협 등의 기관들이 있다.
본래 영양현 석보부곡(石保部曲)의 땅으로서 조선조 인조 무렵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 선생을 위하여 서당을 세운 뒤에 원리동이라고 부르게 된다. 1914년 행정 구역을 고칠 때 인지동과 답하동의 일부를 따다가 원리리라고 하였다.

마을의 특징

원리리에는 이시명(李時明) 선생을 위하여 세운 석계서당과 장씨 부인의 신도비(神導碑), 그리고 당목(堂木)이 있다. 이 곳에는 조선 시대에 지역민의 복지를 위한 광제원(爌濟院)이 있었다. 1640년 병자호란을 당하여 이 곳에 자리를 잡은 석계 이시명 선생의 후손들이 모여들어 재령 이씨 집성촌을 이루게 된다. 화매천(花梅川) 가에 있는 바위에는 석계 선생의 아들은 항재(恒齋) 이숭일(李嵩逸) 선생이 새겼다는 동대와 서대, 그리고 낙기대 등의 글씨가 남아있다.

한편 장씨부인 유허비(遺墟碑)는 마을의 앞 언덕에 세워져 있다. 조선조 선조때부터 궁중에서 필요로 하는 요리에 관한 서책을 쓴 분이다. 아울러 당목(堂木)을 알아보자. 다두들 마을의 남서쪽에 있는 느티나무가 여러 그루가 서있었는데 마을 사람드링 서낭당으로 모시고 매년 정월 보름이면 제사를 모신다. 두들 남쪽에는 세심대(洗心臺)가 있는데 바위 앞면에다 세심대라고 적어 놓았다.

자연 부락의 이름과 유래

원두들·원리(院里)

조선시대에 이 곳에 세운 광제원(爌濟院)이 있었다. 그래서 두들에 위치한 원이 있던 마을이라고 하여 원두들·원리라 부르게 되었다. 원리는 1640년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 선생이 병자호란을 피하기 위해서 이 곳으로 들어와 개척한 마을로 그 후로는 석계 선생의 후손들인 재령 이씨 들이 집성촌을 이루며 살아왔다. 이 마을 옆 둔덕에는 석계 선생의 서당인 석천서당(石川書堂)이 남아 있으며, 마을 앞으로 흐르는 화매천가에 서 있는 암석들에는 석계의 아들인 항재(恒齋) 이숭일(李嵩逸) 선생이 새겼다는 동대·서대·낙기대·세심대 등의 글씨가 아직도 뚜렷하게 남아 있다.
광제원은 사람들의 복지를 위하여 세운 것으로 주로 의료 문제를 효과적으로 풀기 위하여 둔 기관이다. 공식적으로는 조선조 고종 무렵에 세운 것이니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갱빈·강변(江邊)·중학교 마을

원리의 동쪽으로 흐르는 화매천 앞에 마을을 이루었으므로 강변 혹인 갱빈이라 하며, 석보중학교가 이 마을에 들어서자 학교 마을이라고도 불렀다. 두둘·주남·화매로 통하는 삼거리이며 중학교가 생긴 뒤 마을이 커졌다. 강변을 갱빈으로 소리 냄은 일종의 모음의 소리가 바뀐 것이니 소리의 닳음 현상으로 볼수 있다.

아래강변·아래갱빈·바람내기

구 강변 마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아래 강변이라고 하면 바람이 매우 세어서 바람내기라고도 불렀다 한다. 물레방아가 있어서 많은 사람이 이용하였으나 지금은 헐리고 자취가 없다.

두들

화매천 언덕 위 둔덕으로 새장터 옆의 산기슭이다. 1965년 장터에서 새장터로 장이 옮겨지자 이 곳에 인가가 들어서면서 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 마을 뒤편에 넓은 평지가 있어 아이들의 놀이터로 쓰인다. 언덕에 대한 이 지역 말인데 두드러지다·돋다에서 갈라져 나온 이름이다.

솔밑·마웃들

마을의 옆 들판의 모습이 소가 누워있는 형상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맛들에 있는 논의 일부를 메꾸어서 그 자리에 석보초등학교를 세우고 그 주위에 집이 들어서서 원리와 연결되고 있다.

맛들·송하(松下)

솔밑은 새장터의 서쪽 광여산 줄기가 끝나는 곳에 자리잡은 마을인데 옛날에는 마을의 뒤 언덕에 노송이 울창하게 들어차 있기 때문에 솔밑 또는 송하라 부르고 있다. 송하(松下)는 솔밑을 한자로 뒤친 이름이며 솔밑이 더 오랜 우리식 부름말로 보인다.

가두들·가구(佳邱)

이곳은 광산 김씨(光山 金氏)들이 많이 살던 마을이다. 이들 광산 김씨 중에서 조선 시대에 벼슬을 하여 가재(嘉在)라는 당호를 받은 이가 있었는데 그의 당호에서 마을 이름을 따서 가두들·가구하고 불렀다. 또 이 마을의 앞산이 개가 누워서 짖는 형상이라고 하여 개두들이라고도 불리웠다 한다.

장터

석보면의 옛날 장은 지경동의 옛장터에 섰으나 장소가 알맞지 않아서 집들이 많은 원리로 옮겨서 장을 만들었다. 그러니 이 장 역시 1965년에 새장터로 이전하였다.

옛장터·구장터·구장기(舊場基)

옛날에는 원리동에 속하였으나 지금은 지경동에 속해있다. 당초에는 석보장이 이 곳에 좀 더 넓은 장소를 찾아 원리의 장터로 옮겨가고 이름만 남아있다.

새장터·신시장(新市場)

뭔리의 북쪽, 두들 옆에 있는데 1965년에 석보장이 장터쪽에서 이곳으로 옮겨 오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